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 계정 생성과 관련되어 알아보겠습니다. 계정 생성 useradd ● -c : 사용자 계정의 설명 또는 GECOS 필드를 설정,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전체 이름 입력에 사용 → useradd -c “testID” test ● -d :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지정(지정하지 않으면 기본 홈 디렉터리 사용) → useradd -d /home/ test ● -e : 계정의 만료 날짜 설정 (YYYY-MM-DD) → useradd -e 2024-01-10 test ● -g : 사용자의 기본그룹(Group ID, GID)을 지정, 그룹이름 또는 GID를 지정 → useradd -g users test ● -G : 사용자를 추가할 그룹을 지정. 여러 그룹을 쉼표로 구분하여 지정 가능 → user..
안녕하세요! 오늘은 리눅스의 계정과 관련된 파일 passwd, shadow, group에 대해 알아보고 계정생성, 변경, 그룹생성 등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계정과 관련된 파일 /etc/passwd : 시스템의 모든 계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설정 파일 계정정보는 x로 표시되며 실제 패스워드는 /etc/shadow에 저장됩니다. 7가지 필드로 구분되며 필드 구분자는 colons(:) 필드 구조 username:password:UID:GID:GECOS:directory:shell l username : 사용자 계정 l passwd : 사용자의 암호화된 비밀번호(x 또는 비어 있을 수 있으며, 실제 비밀번호는 여기에 저장되지 않고, /etc/shadow 파일에 저장.) l UID(User ID) : ..
안녕하세요! 네트워크 본딩(Bonding)은 여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논리적인 인터페이스로 묶는 과정입니다. Acitve / Standby 구조로 작동하여 장애 발생 시에도 네트워크가 끊기지 않도록 합니다.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l 고가용성 : 단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 중단 되는 것을 방지. l 부하분산 : 네트워크 트래픽을 여러 인터페이스에 분산시켜 전체 네트워크 성능 향상 가능 l 대역폭 증가 : 여러 네트워크 연결을 결합하여 더 폭은 대역폭 제공 가능 네트워크 어댑터 추가하기 VMware에서 가상 머신을 우 클릭 후 Settings… 클릭합니다. Add 버튼을 클릭한 후 Network Ada..
안녕하세요! 오늘은 텍스트 편집기인 vim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vim이란? vim은 vi IMprove의 약자로서 기존에 사용하던 vi(visual interface) 편집기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 호환성도 뛰어나고 구문 강조표시, 완성모드, 맞춤법 검사, 다양한 언어스크립트, 파일 형식 플러그인 등 다양한 옵션을 지원하며 거의 모든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vim 기본 모드 기능 모드 Command 모드 파일 탐색, 잘라내기와 붙여넣기 및 간단한 명령에 사용. 실행 취소, 다시 실행 및 기타 명령도 해당 모드에서 수행 Insert 모드 일반 텍스트 편집에 사용. Ex 모드 파일 저장, 종료, 열기, 찾기, 바꾸기 등 vim 옵션 옵션 기능 i 삽입모드로 전환하고 현재 커서 위치 뒤에 ..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안적인 측면에서 SSH 포트를 변경합니다. 우선 가상 머신을 접속한 후 SSH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파일에서 ‘Port’를 변경합니다. 주석처리가 되어 있을 경우 주석을 제거하고 포트번호를 변경합니다. [root@localhost admin]# vi /etc/ssh/sshd_config 13 Port 2222 14 #AddressFamily any 15 #ListenAddress 0.0.0.0 16 #ListenAddress :: 주석처리가 되어 있을 경우 주석을 제거하고 포트번호를 변경합니다. service sshd restart 명령어를 사용해 sshd를 재 시작합니다. [root@localhost admin]# service sshd restart..
안녕하세요! 오늘은 VMware환경에서 RHLE 6.9 버전의 가상머신의 고정 IP를 할당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된 가상 머신을 우 클릭하여 Settings… 을 누릅니다. Network Adaptor 확인 후 NAT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초기 설치 시 네트워크 유형을 Use 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으로 설정하였다면 NAT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가상 머신을 실행 후 IP 주소를 확인합니다. [root@localhost admin]# ifconfig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0C:29:8C:31:6A inet addr:192.168.10.128 Bcast:192.168.10.255 Mask:255.255.255.0 ine..
안녕하세요! 오늘은 Linux 환경을 사용할 때 편리한 Tool인 모바엑스텀(MobaXterm)을 설치해 보고 SSH 접속을 해보겠습니다! 모바엑스텀이란? Linux환경에서 SSH 접속 Tool이며, 무료로 사용이 가능. SSH, FTP, SFTP 등이 모바엑스텀 하나로 가능. 1. 모바엑스텀 설치하기 https://mobaxterm.mobatek.net/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우선 모바엑스텀 공식 홈페이지에서 무..
안녕하세요! 오늘은 RPM(Redhat Package Manag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pm은 리눅스의 설치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로 생각하면 됩니다. 의존성 문제가 해결되기 이전에 사용하던 명령어로, yum이나 dnf의 경우 인터넷이 없는 상황에서는 미러사이트에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패키지 설치가 불가능합니다. rpm은 인터넷이 없어도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고, 패키지의 설치 여부나 버전, 상태 등을 확인하는 명령으로 사용됩니다. rpm은 command와 option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command 마다 별도의 옵션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주요 명령어 명령어 기능 -q -query 패키지 정보 질의 -i -install 패키지 설치 -U -upgrade 패키지 업그레이드 -e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