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Samba 설정 하기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CentOS Samba를 설정해보겠습니다.

Samba가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고 바로 설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Samba란?
  Windows에서 Linux나 UNIX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Samba는 SMB/CIFS 네트워킹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SMB와 CIFS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SMB? 
  SMB(Server Message Block)는 자원 공유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파일이나, 디렉터리 및 주변장치(프린터 등)을 공유하게 해줍니다.

Samba라는 명칭도 SMB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CIFS ?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은 SMB의 확장 버전이며 윈도우와 유닉스 환경을 동시에 지원
 SMB프로토콜의 확장된 버전
  

CentOS Samba 서버 설치

1. samba 설치 하기

dnf install samba samba-common samba-client

의존성을 문제를 해결한 dnf를 통해서 samba패키지를 설치하였습니다.

2. 공유 디렉토리 생성 및 권한

mkdir  -p  /var/share
chmod -R  777  /var/share

디렉터리를 생성 후 모든 권한을 부여하였습니다.

3. Samba 설정

samba설정을 위한 smb.conf 파일을 열어줍니다.

vi  /etc/samba/smb.conf
* 수정내용
[global]
          map to guest = bad user
          hosts allow = 192.168.5.1

[SHARE]
          path = /var/share
          guest ok = yes
          writable = yes
          browsable = yes
          read only = no

 

[global] 설명

  • workgroup : 작업 그룹 명
  • server string : 윈도우 네트워크에서 보여줄 samba서버에 대한 설명
  • security : 인증 방식 지정 (user, share, server, domain)
    • user - 아이디 비번 을 입력하여 접속
    • share - 인증 없이 접속
    • server - 별도의 인증서버
    • domain - 윈도우NT 계열의 도메인 컨트롤러
  • map to guest  
    • bad user - 모든 유저 접속 허용
  • hosts allow : samba 서버에 접속을 허용 ip 설정

map to guest와 hosts allow는 보안을 위해 설정 해주는 사항입니다. bad user로 설정하여 암호 없는 공유를 하였습니다. 

[share] 설명

  • path : 공유 디렉터리 
  • guest ok : 암호 없는 공유 시 설정 사항
  • writable = yes or no 선택 쓰기 허용 여부
  • browsable = yes로 설정시 로그인 하지 않아도 탐색 가능
  • read only  : 읽기 전용 공유 사항

share의 경우 공유 디렉터리 위치와 읽기, 쓰기 권한 등을 설정하였습니다.
smb를 재 시작 해주도록 하겠습니다.

systemctl  restart  smb

윈도우 파일 탐색기에 접속 정보 \\ip 주소를 입력 합니다.
네트워크 자격 증명의 경우 아무내용을 입력하여도 접속이 가능합니다.
접속이 완료되면 공유 디렉터리가 확인됩니다.

윈도우 및 CentOS에서 파일 공유가 가능한 samba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오늘은 samba 설정을 위해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추후에 smaba user 생성 및 설정, smb.conf 파일 설정에 관한 내용 등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Linux(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M 기본 명령어  (0) 2023.07.02
CentOS(Server)_Wordpress 구축하기  (0) 2023.06.08
CentOS 고정 ip 설정하기  (0) 2023.06.02
CentOS8-This.repo 변경하기  (0) 2023.06.02
리눅스 터미널 색상의 의미  (1)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