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CentOS의 This.repo를 변경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변경하는 방법 이전에 This.repo파일 및 dn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This.repo파일은 dnf 명령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파일입니다.
dnf(dandified yum)명령어는 기존에 사용하던 rpm(redhat pakage manager)명령어의 의존성 문제를 해결한 명령어죠?
rpm의 경우 패키지를 설치하려면 의존성 즉, 미리 설치해야하는 패키지를 순서대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dnf 명령어는 이런 의존성을 해결한 것으로 CeontOS가 제공하는 rpm파일 저장소(repository)에서 설치할 rpm과
의존성이 있는 rpm파일까지 인터넷을 통해서 알아서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 해줍니다.
| dnf란?
인터넷을 통해 rpm파일을 자동으로 다운 설치해주는 명령
dnf가 rpm파일을 다운로드 하려면 저장소의 위치나 정보 등을 확인해야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을 저장해 놓은 파일이
This.repo입니다.
This.repo파일의 구성은 다음과같습니다.
[BaseOS], [AppStream],[ extras], [centosplus], [PowerTools] 등의 5개이며, 각 식별자별로 별도의 파일로 저장해도 무관합니다.
한 파일안에 여러개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도 있으며, 각 식별자는 서로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합니다.
[BaseOS]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BaseO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BaseOS/x86_64/os/
gpgcheck=0
[AppStream]
name=CentOS-$releasever - AppStream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AppStream/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AppStream/x86_64/os/
gpgcheck=0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extra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extras/x86_64/os/
gpgcheck=0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centosplu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centosplus/x86_64/os/
gpgcheck=0
[PowerTools]
name=CentOS-$releasever - PowerTool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PowerTool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PowerTools/x86_64/os/
gpgcheck=0
식별자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name : 저장소 이름
baseurl : 저장소 url, http, ftp, file 3가지 중 하나,
gpgcheck : 패키지의 서명 여부 (1 사용, 0 사용안함)
gpgkey : gpgcheck가 1일 경우 아스키 GPC 키가 들어 있는 저장소의 url
mirrorlist : baseurl에 설정 url이 생략되고 mirrorlist에 적힌 url이 사용되며, 이 mirrorlist의 url은 전 세계에 분포된 여러 개의 저장소가 연결되어 있다.
enabled : 저장소 사용여부 (1 사용, 0 사용 안함)
| mirrorlist?
전 세계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에서 CentOS 패키지 저장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 곳에 전 세계 사용자가 dnf명령어를 실행하면 감당할 수 없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기업에서
자발적으로 저장소 운영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 입니다. 국내에는 카카오와 네이버 등의 기업이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repo를 변경해보겠습니다.
1. 기존 repo 삭제(또는 백업)
우선 repo파일이 있는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cd /etc/yum.repos.d/
디렉터리를 살펴보면 여러가지 .repo 파일이 존재합니다.
해당 파일들은 필요가 없으니 삭제 또는 백업 하도록 하겠습니다.
ls -l # 디렉터리 목록 확인
rm -f *.repo # 모든 repo파일 삭제
## 또는 mkdir backup > mv -f *.repo 로 백업
This.repo 파일 생성 하고 저장소 내용을 넣어줍니다.
vi This.repo
[BaseOS]
name=CentOS-$releasever - Base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BaseO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BaseOS/x86_64/os/ gpgcheck=0
[AppStream]
name=CentOS-$releasever - AppStream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AppStream/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AppStream/x86_64/os/ gpgcheck=0
[extras]
name=CentOS-$releasever - Extra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extra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extras/x86_64/os/
gpgcheck=0
[centosplus]
name=CentOS-$releasever - Plu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centosplu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centosplus/x86_64/os/
gpgcheck=0
[PowerTools]
name=CentOS-$releasever - PowerTools
baseurl=https://archive.kernel.org/centos-vault/8.0.1905/PowerTools/x86_64/os/
http://linuxsoft.cern.ch/centos-vault/8.0.1905/PowerTools/x86_64/os/
gpgcheck=0
| tip
server 버전이나 vim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vi로 모두 타이핑을 해야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BaseOS], [AppStream]까지 작성하시면 dnf 명령어가 작동합니다.
나머지 부분은 vim을 설치하고 복사 붙여넣기를 하시면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또는 CD/DVD (IDE)를 통해서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우선 기존 repo 파일을 삭제 합니다.
This_repo_8.iso 파일을 다운로드해주세요.
1. VMware Player에서 Player > Removable Devices > CD/DVD(IDE) > Settings... 클릭
2. CD/DVD (IDE) > Connected 해제 > Yes > OK
3. CD/DVD (IDE) > Connected 선택 > Browser > This_repo_8.iso 선택 > OK
4. 명령어를 사용해서 CD/DVD를 마운트 해줍니다.
umount /dev/cdrom
mount /dev/cdrom /media
cp /media/This.repo .
il -l
위의 명령어를 순서대로 하면 This.repo 파일이 보입니다.
최신판 CentOS를 사용하시거나 현업에서는 repo파일은 수정할 경우가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레포지토리 즉 저장소에 문제가 생기거나 하면 repo파일을 수정할 수 도 있어 repo파일과 수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Linux(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Samba 설정 하기 (0) | 2023.06.07 |
---|---|
CentOS 고정 ip 설정하기 (0) | 2023.06.02 |
리눅스 터미널 색상의 의미 (1) | 2023.05.31 |
Setuid, Setgid, Sticky bit - 특수 권한 (0) | 2023.05.30 |
파일과 디렉터리의 소유권과 허가권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