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오프라인 환경에서 한글 언어팩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오프라인 환경의 서버에 glibc-langpack-ko를 설치하려면, 패키지를 인터넷이 되는 다른 컴퓨터에서 다운로드하여 오프라인 서버로 옮기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1. 온라인 서버에서 패키지 다운로드
먼저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컴퓨터에서 필요한 glibc-langpack-ko 패키지를 다운로드합니다.
필요한 패키지 다운로드: dnf 명령어로 패키지와 그에 필요한 모든 종속성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려면 다음 명령을 실행합니다.
dnf download glibc-langpack-ko --resolve
--resolve 옵션을 사용하면 glibc-langpack-ko에 필요한 모든 종속 패키지를 함께 다운로드합니다.
이렇게 하면 .rpm 파일들이 현재 디렉터리에 다운로드됩니다.
글 작성 기준으로 다음 rpm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glibc-langpack-ko-2.28-251.el8_10.5.x86_64.rpm
또는 다음 명령어로 모든 .rpm 파일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rpm
2. 오프라인 서버로 패키지 이동
다운로드한 .rpm 파일들을 USB 드라이브와 같은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서버로 옮깁니다.
저는 scp를 사용하여 이동하겠습니다.
3. 오프라인 서버에서 패키지 설치
아래 명령어를 통해 다운로드한 rpm을 설치합니다.
dnf install glibc-langpack-ko-2.28-251.el8_10.5.x86_64.rpm
4. 설치 확인 및 로케일 설정
패키지가 설치되면 언어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로케일 확인 (전체)
locale -a
로케일 변경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로케일 확인(현재 설정)
로케일 설정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 확인하려면 다음을 사용합니다.
[root@ ~]# localectl status
System Locale: LANG=ko_KR.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이 과정을 통해 오프라인 환경에서도 glibc-langpack-ko를 설치하고 시스템의 로케일을 한국어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수정이 필요하시면 알려주세요.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천사불여일행(千思不如一行) : 천 번 생각하는 것보다 한번 행동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기기일약 불능십보 노마십가 공재불사(騏驥一躍 不能十步 駑馬十駕 功在不舍): 천리마가 한번 크게 뛴다고 하더라도 열 걸음을 나아갈 수 없고 노둔한 말일지라도 열흘 달리면 역시 거기에 미칠 수가 있다.
일의 성과는 멈추지 않고 계속하는 데 있다. (순자, 권학 편)
'Linux(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취약점 U-3 pam_faillock (1) | 2024.11.16 |
---|---|
Mock Server (3) | 2024.11.15 |
nmcli 명령어 정리 (2) | 2024.11.14 |
fstrim (리눅스 파일을 삭제했지만 용량이 줄어들지 않는다...) (0) | 2024.11.06 |
Rocky 9.3 NFS (1) | 2024.03.18 |